본문 바로가기
text/common

Docker & Registry 설치 및 문제 해결 후기

by hoonzii 2025. 2. 12.
반응형

이번 포스팅에서는 운영서버에 Docker와 Registry를 설치하면서 겪었던 문제와 그 해결 과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. 개발서버에서는 별문제 없이 진행됐지만, 운영서버에서는 몇 가지 예상치 못한 이슈가 발생했습니다. 같은 문제를 겪고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

1. 운영서버 Docker 설치 시 문제

운영서버에 Docker를 새로 설치할 때 몇 가지 의존성 관련 문제에 직면했습니다.

발생한 문제

  • Docker 설치 중 다음과 같은 의존성 오류 발생:
    • (docker-ce-stable) Requires: slirp4netns >= 0.4
    • (docker-ce-stable) Requires: fuse-overlayfs >= 0.7

해결 방법

  1. 직접 패키지 설치 시도:

     # slirp4netns 0.4v 설치
     sudo yum install -y http://mirror.centos.org/centos/7/extras/x86_64/Packages/slirp4netns-0.4.3-4.el7_8.x86_64.rpm
    
     # fuse-overlayfs 0.7v 설치
     sudo yum install -y http://mirror.centos.org/centos/7/extras/x86_64/Packages/fuse-overlayfs-0.7.2-6.el7_8.x86_64.rpm
    
  2. 미러 사이트 문제:

    • 위 링크들이 404 오류를 반환하여 다른 미러 사이트 등록 필요.
  3. EPEL 및 추가 저장소 활성화:

     sudo yum install -y epel-release
     sudo yum-config-manager --add-repo=https://vault.centos.org/7.9.2009/extras/x86_64/
     sudo yum install -y slirp4netns fuse-overlayfs
    
  4. Docker 정상 설치:

     sudo yum install -y docker-ce docker-ce-cli containerd.io
    

참고: https://xl-shine.tistory.com/56


2. Docker Registry에 이미지 Push 시 문제

개발서버의 Docker Registry에 이미지를 Push하려고 했을 때 500 Internal Server Error가 발생했습니다.

발생한 문제

  • 에러 메시지:

      received unexpected HTTP status: 500 Internal Server Error
    

문제 해결 과정

  1. Registry 로그 확인:

     error from daemon in stream: Error grabbing logs: unexpected EOF
    
    • 비정상적인 연결 종료로 인해 발생한 오류.
  2. Registry 재시작 시도:

     docker restart registry
    
    • 에러 발생:

        Error response from daemon: Cannot restart container docker_registry: open /var/lib/docker/containers/~: no space left on device
      
      • 디스크 공간 부족 문제.
  3. 디스크 공간 정리:

     docker system prune
    
    • 주의: 이 명령어는 사용하지 않는 모든 컨테이너, 이미지, 볼륨 등을 삭제하므로 신중하게 사용.
  4. Registry 재설정 및 테스트:

    • Registry를 재설정한 후 이미지 Push가 정상적으로 동작.

원인 분석

  • 컨테이너의 로그가 내부 볼륨에 계속 쌓였기 때문.
  • 해결: 컨테이너의 볼륨을 호스트에 마운트하여 로그가 쌓이는 문제 방지.

참고: ChatGPT의 도움을 받았습니다!


이번 경험을 통해 Docker와 Registry 설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의존성 문제와 디스크 공간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달았습니다. 같은 문제를 겪고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 질문이나 피드백은 댓글로 남겨주세요!

반응형

'text > comm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ocker Registry를 이용해 사설 private image서버 설정  (0) 2025.01.11
PLG stack 찍먹!  (3) 2024.11.21
mysql order by equal?  (2) 2023.12.05
maven multi binding 문제 시 해결  (1) 2023.10.12
변수 메모리 할당 (간단 정리)  (0) 2023.07.31

댓글